연구/MCP(2)
-
MCP로 로컬파일을 정리해보았다.
MCP를 설치하자마자 제일 먼저 해본 것은 로컬파일 수정이었다. 다른 건 다 제쳐두고 이것부터 시도한 이유는 너무 오랫동안 기다려왔기 때문이다. 그동안 AI를 써오면서 로컬파일에 직접 손대는 건 꿈도 못 꿨는데, 드디어 그 날이 왔다! 먼저 시켜본건 파일옮기기였다. 사진 파일명을 IMG_YYYY(연도)_MMDD(월,일) 형식으로 바꾸고, 날짜별로 새 폴더를 만든 다음, 사진들을 해당 날짜 폴더에 넣는 것이 목표였다. MCP가 없던 시절에는 이런 작업을 위해 두 개의 앱을 번갈아 써야 했다 Hazel이 앱은 파일명을 규칙에 맞춰 일괄변경하고, 이름 조건에 따라 특정 폴더로 파일을 옮기는 자동화 툴이다. 분류작업에 필수적인 앱이고, 날짜별 폴더 생성 기능도 지원한다. 단, 규칙 설정이 생각보다 복잡해서 초..
2025.04.16 -
MCP를 처음 사용해보았다.
MCP가 뭐야? 요즘 워낙 핫한 주제인 MCP. 아무래도 시대에 뒤처질 수 없어서 바로 사용해봤다. MCP의 개념이야 여기저기 알려져 있지만, 내가 이해한 MCP의 개념은 AI에게 '직접 행동할 수 있는 육체를 준다'는 느낌이었다.그 동안 손과 발이 없어서 입으로만 대답이 가능했던 AI가 이제는 유저의 명령을 토대로 특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힘이 생긴거다. 예를들어 예전에는 "A박스에서 B박스로 사과를 옮겨줘" 라는 명령을 들었을 때, 기존의 챗봇은 입으로만 "A박스에 있는 사과를 손으로 집어서, B박스로 옮기신 뒤 손에서 힘을 풀면 사과가 옮겨집니다"같은 대답을 했다면, 이제는 AI가 직접 손을 사용해서 A박스에 있는 사과를 집어서 B박스로 옮겨놓는다는 거다. 아무튼 유튜브에 널린 여러 영상들을 토..
2025.04.10